2025년부터 시행되는 아이돌봄서비스는 아동 돌봄의 질을 높이고 지원 범위를 확대하여 가정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변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이돌봄서비스의 주요 내용과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아이돌봄서비스 개요
서비스 개요
아이돌봄서비스는 12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가정으로 방문하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정부의 지원 범위가 확장됩니다.
정부 지원 확대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기존 150% 이하에서 200% 이하로 상향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3인 가구의 월 소득 기준은 10,051,000원에서 12,196,000원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가구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요금
요금 구조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의 시간당 이용 요금은 12,180원입니다.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 비율이 달라지며, 다음과 같은 구분이 있습니다:
- 가형 (중위소득 75% 이하)
- 영아종일제: 정부 지원 85%, 본인 부담 15%
-
취학 후: 정부 지원 75%, 본인 부담 25%
-
나형 (중위소득 120% 이하)
- 영아종일제: 정부 지원 60%, 본인 부담 40%
-
취학 후: 정부 지원 40%, 본인 부담 60%
-
다형 (중위소득 150% 이하)
- 영아종일제: 정부 지원 30%, 본인 부담 70%
-
취학 후: 정부 지원 20%, 본인 부담 80%
-
라형 (중위소득 200% 이하)
- 영아종일제: 정부 지원 15%, 본인 부담 85%
-
취학 후: 정부 지원 10%, 본인 부담 90%
-
마형 (중위소득 200% 초과)
- 본인 부담 100%
추가 지원
다자녀 가구는 본인 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이른둥이 영아종일제의 지원 기한이 연장되어 생후 40개월 이하로 확대됩니다.
서비스 개선 사항
긴급돌봄 서비스
2025년부터 긴급돌봄 서비스의 부담이 완화되어, 서비스 이용 비용이 건당 4,500원에서 3,000원으로 감소합니다. 또한, 양육 공백 인정 기준에 취업 예정자도 포함되어 더 많은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
아이돌보미의 근무 조건도 개선됩니다. 시간당 돌봄 수당이 2024년 11,630원에서 2025년 12,180원으로 인상되며, 영아 돌봄에 대한 추가 수당이 1,500원으로 책정됩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신청 방법
아이돌봄서비스 신청은 전화를 통해 가능하며, 지역 서비스 제공 기관에 연결할 수 있는 전화번호는 1577-2514입니다. 또한, 아이돌봄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정보와 서비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아이돌봄서비스의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아이돌봄서비스는 12세 이하 아동을 둔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질문2: 긴급돌봄 서비스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긴급돌봄 서비스는 전화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서비스 이용 비용이 줄어들어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질문3: 아이돌보미의 처우는 어떻게 개선되나요?
아이돌보미의 시간당 수당이 인상되고, 영아 돌봄에 대한 추가 수당이 지급되어 처우가 개선됩니다.
질문4: 이른둥이 아동에 대한 서비스는 어떻게 변화하나요?
이른둥이 아동에 대한 지원 기한이 생후 36개월에서 40개월로 연장되어 더 많은 도움이 가능합니다.
질문5: 다자녀 가구에 대한 특별 지원은 무엇인가요?
다자녀 가구는 본인 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받을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이 줄어듭니다.
아이돌봄서비스의 변화는 많은 가정에 더욱 촘촘한 돌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