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희망저축계좌 자산형성 사업은 저소득층과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정부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희망키움통장1, 희망키움통장2,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개요와 지원 내용,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산형성 지원사업 개요
희망키움저축통장1
희망키움저축통장1은 생계 및 의료급여 수급자 중 일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총 근로 및 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상일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적립금과 정부지원금을 매칭하여 지원받게 됩니다.
희망키움저축통장2
희망키움저축통장2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주거 및 교육급여 수급 가구와 기타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하며, 근로활동 중인 가구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본인적립금에 정부지원금을 추가하여 지급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저소득 근로 청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100%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본인적립금에 대한 정부지원금이 매칭되어 지급됩니다.
자산형성 사업 가입 대상
사업명 | 지원대상 |
---|---|
희망키움저축통장1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중 일하는 가구 |
희망키움저축통장2 | 주거․교육급여 수급 가구 및 차상위 계층 |
청년내일저축계좌 | 만 19세~34세 이하의 저소득 근로 청년 |
사업 지원 내용
희망키움저축통장1
- 본인적립금: 10만 원
- 정부지원금: 30만 원 매칭
- 신청 자격: 생계․의료수급가구 중 일하는 가구
희망키움저축통장2
- 본인적립금: 10만 원
- 정부지원금: 10만 원 매칭
- 신청 자격: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청년내일저축계좌
- 본인적립금: 10만 원
- 정부지원금: 10~30만 원 매칭
- 신청 자격: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의 저소득 근로청년
신청 방법 및 주의사항
모든 지원사업은 각 지자체의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모집기간은 사업별로 다르니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2월부터 모집이 시작됩니다. 또한,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관련 교육 이수와 지원금 사용처에 대한 증빙이 요구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자산형성 지원금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각 지자체의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모집 기간과 방법은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지원금이 환수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지원금 사용처가 목적에 맞지 않거나, 교육 이수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지원금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자격 기준은 무엇인가요?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저소득 근로 청년 중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희망키움저축통장1의 지원금은 얼마인가요?
본인적립금 10만 원에 정부지원금 30만 원이 매칭되어 지원됩니다.
희망키움저축통장2의 신청 자격은 무엇인가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 및 교육급여 수급 가구와 차상위 계층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