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자신과 가족의 진료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의료기관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진료내역 조회 방법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가장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공식 웹사이트인 nhis.or.kr에 접속합니다.
2. 민원 서비스 이용
홈페이지에서 ‘민원 여기요’를 클릭한 후, 개인민원 메뉴로 이동합니다. 그 다음 ‘보험급여’ 항목을 선택하고 ‘진료받은 내용 및 신고’를 클릭하여 진료내역 조회를 시작합니다.
3. 인증서 로그인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인 인증이 필요합니다.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4. 진료내역 확인
로그인 후에는 본인이 진료받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민감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진료내역 조회 시 유의사항
개인정보 보호
조회된 진료내역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23조에 해당하는 민감정보입니다. 타기관에 자료 제출 시 개인의 권익이 침해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부당 청구 신고
조회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부당한 방법으로 진료비를 청구한 사실이 확인되면 소정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조회 대상 및 제한 사항
본인 및 가족 조회
- 본인은 언제든지 자신의 진료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4세 미만 자녀의 경우, 건강보험에 함께 등재된 부모의 인증을 통해 조회가 가능합니다.
- 그러나 부부 간에도 서로의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는 민감정보의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미성년자 조회
- 만 14세 미만: 부모의 인증을 통해 함께 조회 가능
- 만 14세 이상: 본인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직접 조회 가능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진료내역 조회는 어떻게 시작하나요?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민원 여기요’ 메뉴에서 ‘보험급여’를 선택하고 ‘진료받은 내용 및 신고’를 클릭하면 됩니다.
질문2: 가족의 진료내역도 확인할 수 있나요?
부부 간에는 서로의 진료내역을 확인할 수 없으며, 14세 미만의 자녀는 부모의 인증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진료내역을 확인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조회된 내용은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민감정보이므로, 타기관에 제출할 경우 개인의 권익이 침해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질문4: 진료내역이 잘못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조회된 내용이 사실과 다르면 확인 후 부당한 청구가 있었던 경우, 관련 부서에 신고하면 소정의 포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5: 진료내역은 어떤 정보가 포함되나요?
진료내역에는 본인이 진료받은 모든 내용이 포함되며, 일부 특수상병 내역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가까운 지사에 문의해야 합니다.
이전 글: 반도체 관련 주식 분석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