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매수 및 매도 시점을 판단하는 것은 주식 투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경인 회계사의 방법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할인율(요구수익률) 산정
BBB- 등급 채권 수익률
기업 가치를 계산하기 위한 첫 단계는 할인율, 즉 요구수익률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BBB- 등급 채권의 5년 수익률을 참고합니다. 2021년 11월 9일 기준으로 BBB- 등급 채권의 5년 수익률은 8.71%로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와 같은 주식 투자를 통해 최소한 이 정도의 수익률을 얻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할인율을 8.7%로 설정합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 계산
ROE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미래의 ROE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사의 컨센서스를 활용하여 ROE 값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2018년, 2019년, 2020년의 ROE는 각각 19.63%, 8.69%, 9.99%로 나타났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중평균 ROE를 계산하면 11.16%가 됩니다. 2021년 예상 ROE는 14.17%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적정주가 계산
발행주식수 및 적정주가
삼성전자의 전체 발행주식수는 5,969,782,550주이며, 자기주식이 없기 때문에 전체 발행주식수로 나누어 적정주가를 계산하면 약 73,028원이 됩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70,500원으로, 이는 예상되는 초과수익률을 이미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초과이익 및 지속계수
기업의 초과이익이 지속될 경우, 또는 초과이익이 10% 또는 20%씩 감소하는 경우에 대한 적정주가를 추가로 계산해보겠습니다. 이때, 지속계수는 이익 감소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이익이 10% 감소하면 지속계수는 0.9가 됩니다.
초과이익 감소율 | 적정기업가치 | 적정주가 |
---|---|---|
0% | 계산값 | 73,028원 |
10% | 계산값 | 계산값 |
20% | 계산값 | 계산값 |
이러한 계산을 통해 삼성전자의 올해 이익이 이미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이익 대비 적정주가에 도달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
주식 투자의 일반적인 전략으로, 기업의 재무제표가 새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적정주가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예상 외의 악재로 ROE가 감소한다면, 적정주가 범위를 수정해야 합니다. 또한, 주가가 저평가된 기업을 찾아 적정 매수가격에 도달하면 매수하고, 1차 매도가격에 도달하면 1/3을 매도하며, 2차 매도가격에 도달하면 나머지 1/3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남은 1/3은 충분히 주가가 상승했다고 판단될 때 매도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할인율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답변: 할인율은 채권의 수익률을 참고하여 설정하며, 삼성전자의 경우 BBB- 등급 채권의 5년 수익률인 8.7%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질문2: ROE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답변: ROE는 과거 3년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중평균을 내고, 증권사의 예상치를 참고하여 계산합니다.
질문3: 삼성전자의 적정주가는 어떻게 산출하나요?
답변: 전체 발행주식수로 기업 가치를 나누어 적정주가를 산출하며, 현재 주가와 비교하여 초과수익률을 평가합니다.
질문4: 초과이익이란 무엇인가요?
답변: 초과이익은 기업이 자본비용을 초과하여 발생한 이익을 의미하며,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질문5: 주식 매도 전략은 무엇인가요?
답변: 주가가 저평가될 때 매수하고, 목표 가격에 도달하면 점진적으로 매도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