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차전지 셀 기업들의 증설 소식이 이어지며 배터리 캔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캔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 주요 기업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배터리 제조사들의 케파 확대
LG에너지솔루션의 공장 신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에 배터리 공장을 재건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투자는 약 7조 원 규모로, 원통형 배터리와 ESS(LFP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테슬라의 원통형 배터리 사용 확대에 따라 생산량 증대가 필요해졌습니다.
삼성SDI의 합작법인 설립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을 설립해 2025년 가동을 목표로 생산 시설을 추가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GM과의 협력도 진행 중이며, 50GWh 규모의 미시간주 공장 설립을 논의 중입니다.
배터리 캔 관련 주요 기업
1. 성우하이텍
- 사업내용: 배터리 케이스 공급 업체로, 멕시코 생산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 캐딜락과 8년간 5900억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7552억, 22년 4분기 매출 1조 1551억.
2. 상신이디피
- 사업내용: 원통·각형 배터리 케이스를 생산하며 삼성SDI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3632억, 22년 4분기 매출 746억.
3. 신흥에스이씨
- 사업내용: 배터리 캔과 캡어세이를 주력으로 공급하는 기업으로, 미국 현지 생산 공장을 설립할 예정입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4138억, 22년 4분기 매출 1262억.
4. 상아프론테크
- 사업내용: 각형 배터리 캡어세이 공급 업체로, 최근 미국 생산 공장 투자를 검토 중입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4853억, 22년 4분기 매출 458억.
5. 제이스텍
- 사업내용: 2차전지 사업부를 출범하고 배터리 전극 보호 케이스 및 캡어세이 생산설비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1585억, 22년 4분기 매출 378억.
6. 동원시스템즈
- 사업내용: 배터리 케이스 업체 엠케이씨를 흡수합병하여 원통형 배터리 캔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1조 4162억, 22년 4분기 매출 3372억.
7. 화신
- 사업내용: 종합 자동차 부품 업체로 배터리 팩 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공장 신설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5077억, 22년 4분기 매출 4860억.
8. 유니테크노
- 사업내용: 차량용 부품 전품 기업으로 배터리 셀 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1224억, 22년 4분기 매출 204억.
9. 알루코
- 사업내용: 배터리 케이스(알루미늄 하우징 및 셀 커버) 제조·공급업체입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3149억, 22년 4분기 매출 1748억.
10. 에스피시스템스
- 사업내용: 배터리 캔 제조 금형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동원시스템즈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1391억, 22년 4분기 매출 127억.
11. 동국산업
- 사업내용: 배터리 캔 제조의 핵심 원재료인 니켈도금강판을 공급합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4687억, 22년 4분기 매출 1821억.
12. TCC스틸
- 사업내용: 배터리 캔 제조의 핵심 원재료인 니켈도금강판을 공급합니다.
- 재무 정보: 시가총액 1조 1115억, 22년 4분기 매출 1723억.
자주 묻는 질문
배터리 캔 수요 증가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배터리 캔 수요는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용 증가에 따라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완성차 기업들이 원통형 배터리 사용 확대를 발표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증설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주요 기업들은 원통형 배터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 증설 및 신규 합작법인 설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2030년까지 시장 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